• 2023. 8. 18.

    by. 생활정보-트리플아바이

    주휴수당의 의미와 그에 대한 조건 및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아르바이트를 하게 될 경우에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지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의미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에는 사용자는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유급휴일에 받는 것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이 주휴수당은 4인 이하 기업체에도 적용이 됩니다. 주휴수당은 엄연한 임금이므로 이를 지급하지 않으면 체불임금에 해당됩니다.  이에 대한 근거는 근로기준법 시행령 [별표 1]에 명시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 계산주휴수당 계산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은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조건이 만족해야 주휴수당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그 조건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째,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을 해야 합니다.

    둘째, 일주일을 기준으로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시간을 준수하여 일하는 모든 형태의 근로(지각 또는 조퇴 포함, 결근은 해당 안됨)에 다 해당됩니다.

     

     

    이를 위반하게 된다면 법적처분이나 과태료 처분이 내려지게 되니 사용자를 필히 준수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계산주휴수당 계산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조건을 만족하였다면 주휴수당 수급의 자격이 되므로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휴수당은 일당으로 계산되는데, 통상 1일 '소정근로시간 ×시간급'으로 계산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계산기 바로가기를 통해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 5일 근무제에서 1주일 중 1일은 주휴일, 다른 1일은 무급휴일이 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지정된 요일은 없습니다.

     

     

    주휴수당은 연봉제, 월급제, 시급제, 일급제와 같은 급여지급형태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고, 주에 40시간 이상을 근로하느냐, 40시간 미만이냐에 따라 계산방식에도 차이가 있으니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주휴수당 계산주휴수당 계산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 아르바이트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또한 위에서 언급한 조건에 해당된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5시간 이상을 근무하였지만 40시간 미만으로 일한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르바이트 주휴수당은 '시급 ×하루평균근로시간'으로 계산하고, 여기서 하루평균근로시간은 '일주일 총 근무시간 / 5일'로 계산합니다.

     

    계산기를 원하신다면 네이버 검색창에서 '주휴수당 계산기'로 검색하시면 바로 계산해 보실 수 있으니 바로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행법상 주휴수당은 부당한 요구가 아니라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이니 해당되시는 분은 바로 알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728x90